대장 내시경


대장 내시경

최근 우리나라에서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대장암을 비롯한 여러 대장질환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대장질환이 진단, 특히 대장암 조기 진단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대장검사는 필수적입니다. 대한소화기학회에서는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40세 이상이면 적어도 1번은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장암 또는 선종성 용종의 가족력, 염증성장질환 등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40세 이전에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장내시경 검사란?

대장내시경검사는 대장 전체와 직장을 내시경으로 관찰하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긴 관에 1cm의 소형 카메라를 달아 항문을 통해 직장, S상결장, 하행결장, 가로결장, 상행결장을 지나며 

오른쪽 아랫배까지의 약 1m 정도까지 삽입하여 내부를 관찰합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검사입니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대장용종, 대장암, 염증성장질환, 허혈성대장염, 감염성대장염, 장결핵 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합니다. 

대장용종을 발견할 경우 내시경적 용종 제거술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해 드려요!

    배변시 항문으로 출혈이 있거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때

   배변 습관의 갑작스런 변화가 올 때

    원인불명의 만성설사가 있을 경우

   하복부에 자주 통증이 있을때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때

   가족 중 대장암의 병력이 있을 경우


대부분의 대장암은 다른 암처럼 갑작스럽게 발생하지 않으며 선종성 용종의 단계를 거쳐 서서히 암으로 진행합니다. 

따라서 대장용종 단계를 거쳐 서서히 암으로 진행합니다. 때문에 대장용종 단계에서 제거할 경우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장용종은 증상이 없으며 혈변이나 장폐색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이미 대장암으로 진행된 상태일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어도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대장용종을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 매우 중요합니다.



준비사항 및 유의사항

 대장내시경 검사전 준비사항

1. 항응고제, 아스피린 종류의 약을 복용 중인 분은 담당의와 중단 여부를 상의하십시오. 

     (용종 절제나 조직검사 시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검사 5일 전부터 중단해야 합니다.) 


2. 검사 예약 3일 전부터 식이조절이 필요합니다. 

     - 섬유질이 많은 음식(절인 채소류, 김, 미역 등 해조류, 잡곡-현미, 흑미 등) 

     - 씨가 많은 과일(참외, 키위, 딸기, 수박, 포도, 토마토 등) 

     - 깨 종류, 옥수수, 우유 등은 드시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위와 같은 음식의 성분이 대장벽에 붙어 잘못된 검사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장내시경 검사전 준비사항

1. 일반적인 식사는 검사 직후 가능합니다. 


2. 검사 중 가스를 장 속에 넣기 때문에 검사 직후에 복부 팽만감을 느낄 수 있으나, 

     가스가 배출되면서 불편이 해소됩니다.

 

3. 수면내시경검사를 받으신 후엔 한동안 졸음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자가운전은 절대로 피하셔야 합니다.

소화기내과 전문의란 내과전문의 중 인증된 수련기관에서 소화기내과 임상교수과정을 수료하고
대한소화기내시경협회에서 부여하는 소화기 내시경 세부전문의 또는 대한내과학회에서
부여하는 소화기내과분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한 사람을 지칭합니다.


맑음내과의원의 모든 내시경 검사는 소화기내과 전문의에 의해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우곡로 217번길 6 새마을회관 2-4층   

대표자 : 박기룡    사업자등록번호 : 776-90-01882   

전화 : 055-224-0000   

Site By UNWEBS

Copyright © 맑음내과.  All rights reserved.